클로드 코드 + ‘LLM OS’ MCP 서버로 내 Mac 제어하기

채널 아이콘
All About AI 구독자 189,000명

요약

이 영상은 macOS에서 Claude Code와 사용자 정의 MCP 서버를 활용해 ‘LLM OS’를 구축하고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일 명령으로 즐겨찾기 탭 열기부터 최신 AI 뉴스 검색·뉴스레터 작성·이메일 전송·시스템 모니터링 등의 복합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며, 클립보드 연동과 앱 프리셋 프로필, 파일 파인더, 시스템 정보 조회 등 9가지 주요 서버를 시연한다. 이를 통해 LLM과 모듈형 도구를 결합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주요 키워드

LLM OS MCP 서버 Claude Code 워크플로우 자동화 클립보드 통합 프리셋 프로필 파일 파인더 시스템 모니터링 AI 뉴스레터 크롬 제어

하이라이트

  • 🔑 macOS에서 Claude Code와 9개의 MCP 서버를 연결해 LLM OS를 구축하고 명령어 기반으로 시스템 제어 가능성을 실험했다.
  • 🚀 한 줄 명령으로 LinkedIn·Reddit·Hacker News·ChatGPT 등 사전 설정된 Chrome 탭을 일괄 오픈하는 워크플로우를 시연했다.
  • ⚡️ 주간 AI 뉴스를 검색해 HTML 뉴스레터로 컴파일·이메일 전송·Mac 절전 모드 진입까지 자동으로 처리하는 고급 시나리오를 구현했다.
  • 🌟 클립보드 서버로 복사한 텍스트를 터미널에서 요약·설명하거나, 생성된 명령어를 클립보드로 다시 전송하는 양방향 기능을 선보였다.
  • 🛠️ ‘코딩 프로필 열기’ 프리셋으로 Cursor, AI Studio, ChatGPT 앱과 URL을 동시에 실행해 개발 환경을 즉시 준비했다.
  • 📌 Chrome 툴로 Hacker News 상위 AI 토픽만 필터링해 보여주고, 선택한 기사를 자동으로 여는 웹 제어 기능을 구현했다.
  • 🔍 파일 파인더 서버로 시스템에서 지정된 파일을 찾아 Finder로 바로 열어보는 유틸리티를 시연했다.
  • 💻 시스템 MCP 서버를 통해 하드웨어 스펙·배터리 상태·네트워크 핑·프로세스 목록·열 관리 등 종합 모니터링 툴을 제공했다.
  • 💡 MacBook M3와 최신 M4 사양을 비교 분석해 차이점을 보고서로 생성·이메일 전송하는 복합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했다.
  • 🌐 모듈형 MCP 서버 구조가 다양한 LLM 드리븐 매크로와 워크플로우 아이디어를 손쉽게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용어 설명

LLM OS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운영체제를 제어·자동화하는 시스템 환경

MCP 서버

Model-Command-Protocol 서버의 약자로, LLM이 모듈 단위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Claude Code

Anthropic에서 제공하는 코드 생성 및 실행 기능을 갖춘 대화형 LLM 인터페이스

bash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셸 스크립트 언어로, 터미널 명령어 자동화에 활용

클립보드 서버

시스템 클립보드를 터미널에서 읽고 쓰도록 지원하는 MCP 서버 도구

프리셋 프로필

사전 설정된 앱과 URL 묶음을 한 번에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커맨드 그룹

파일 파인더

macOS Finder를 제어해 원하는 파일을 검색·열기하는 MCP 서버 유틸리티

시스템 모니터링

하드웨어 정보, 배터리 상태, 네트워크, 프로세스, 온도 등 시스템 상태를 조회하는 기능

[00:00:00] LLM OS와 MCP 서버 설정 소개

영상 목적과 맥OS에서 LLM OS를 구축하는 이유, Claude Code를 이용해 Brave Search·Chrome·이메일·파일 파인더·시스템 모니터링 등 총 9개의 MCP 서버를 생성할 계획을 설명한다.

[00:01:09] 간단한 워크플로우: 즐겨찾는 Chrome 탭 열기

‘open my favorite Chrome tabs’ 명령으로 LinkedIn·Reddit·Hacker News·AI Studio·ChatGPT·이메일·YouTube 등을 한 번에 열어 Chrome 탭 관리 효율성을 시연한다.

[00:01:57] 고급 워크플로우: AI 뉴스레터 자동화

최신 일주일간 AI 뉴스를 Brave Search로 찾고, HTML 뉴스레터를 작성해 사용자 이메일로 전송하고, 작업 완료 후 Mac을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자동화한다.

[00:03:52] 결과 확인: 이메일에서 뉴스레터 검토

수신된 뉴스레터를 열어 ‘Latest AI News Weekly Update’ 형식과 주요 소식을 확인하며, 약 120초 만에 워크플로우가 완료된 속도를 평가한다.

[00:04:39] 클립보드 서버 활용하기

‘fetch from clipboard’로 복사된 텍스트를 터미널에서 불러와 요약·설명 명령을 수행하고, ‘set to clipboard’로 생성된 텍스트나 명령어를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양방향 기능을 시연.

[00:06:08] 프리셋 프로필로 앱 및 URL 일괄 실행

‘open my coding profile’ 명령으로 Cursor·AI Studio·ChatGPT 앱과 개발 관련 URL을 동시에 실행해, 원하는 작업 환경을 즉시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00:06:50] 파일 파인더 및 크롬 명령

파일 파인더 서버로 ‘mcp server.md’ 파일을 검색해 Finder에서 열고, Chrome 서버로 Hacker News 상위 30개 항목을 필터링해 AI 관련 뉴스만 추출 후 자동으로 기사 페이지를 여는 시나리오를 구현한다.

[00:08:44] 시스템 정보 조회 및 모니터링

시스템 MCP 서버를 통해 하드웨어 스펙(MacBook Pro M3 Pro, 12코어, 36GB), 배터리 상태, 네트워크 핑, 프로세스 요약, 온도·절전 설정 등 종합 모니터링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00:10:23] 종합 워크플로우: Mac M3 vs M4 비교 보고서

시스템 정보와 OS 버전을 수집하고, 웹에서 최신 Mac M4 사양을 검색해 MacBook M3와 비교·분석한 보고서를 생성·이메일로 전송해 교체 여부 판단에 활용한다.

[00:11:15] 마무리 및 영감 제시

초기 테스트 결과를 요약하며 개인적으로 선호한 클립보드·크롬·프리셋 프로필 서버를 언급하고, LLM OS와 MCP 서버 조합으로 가능한 다양한 자동화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