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AI 에이전트가 자동화를 구축합니다 (Chrome 확장 프로그램)

채널 아이콘
Jack Roberts 구독자 55,800명

요약

이 영상은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활용해 AI 에이전트를 자동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웹훅을 통해 N8N 시나리오를 실행하고, Switch 모듈로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기하여 서브 에이전트와 연동합니다. 에어테이블(Airtable)에서 주요 워크플로 데이터를 불러와 Golden Selector로 핵심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OpenAI 기반 코파일럿이 JSON 코드를 자동 생성·검증합니다. 마지막으로 완전한 자동화 시나리오를 테스트하고 메모리, 임포트 기능 등 차세대 개선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주요 키워드

AI 코파일럿 Chrome 확장 프로그램 N8N 시나리오 Webhook Airtable Golden Selector Sub-agent JSON Switch 모듈 Editor 모듈

하이라이트

  • 🔑 AI 기반 코파일럿으로 N8N 워크플로우를 자동 생성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 Chrome 확장 프로그램 생성기를 활용해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기본 파일 구조(manifest.json, popup.js 등)를 자동 생성합니다.
  • 🌟 Switch 모듈을 통해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기 처리해 각각에 맞는 서브 에이전트를 호출합니다.
  • 📌 Airtable에서 수백 건의 JSON 레코드를 불러와 핵심 ID와 짧은 설명만 추출하는 Data Overview로 데이터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 🚀 Golden Selector로 사용자 요청과 가장 연관 높은 3가지 시나리오를 LLM에 선택하도록 요청해 효율성을 높입니다.
  • 🔧 Creator 모듈과 Editor 모듈을 연계해 LLM이 생성한 JSON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검증·수정하도록 설계했습니다.
  • 🛠️ 메모리 추가, 시나리오 임포트, 메이크(Anytime) 지원 등 차세대 기능 로드맵으로 확장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용어 설명

AI 코파일럿

Chrome 확장 및 N8N 시나리오 내에서 자동화 워크플로우 생성과 코드 생성을 담당하는 AI 에이전트입니다.

Chrome 확장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기능을 확장해 사용자 상호작용을 추가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입니다.

Webhook (웹훅)

외부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지정된 URL로 HTTP 요청을 보내 자동화를 시작하는 방식입니다.

N8N

노코드(No-Code) 기반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플랫폼으로, 다양한 서비스와 모듈을 연결해 시나리오를 구성합니다.

Airtable (에어테이블)

클라우드 스프레드시트와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결합한 서비스로, JSON 형식 레코드 저장 및 조회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Golden Selector

LLM에게 수백 개의 시나리오 중에서 사용자 요청에 가장 적합한 상위 N개를 선택하도록 하는 필터링 메커니즘입니다.

Sub-agent (서브 에이전트)

메인 워크플로우에서 호출되는 보조 시나리오로, 특정 기능(데이터 조회, 코드 생성 등)을 수행합니다.

manifest.json

Chrome 확장 프로그램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파일로, 권한, 스크립트, 아이콘 등을 지정합니다.

JSON

데이터 구조를 표현하는 경량형 텍스트 형식으로, 자동화 시나리오 및 API 응답을 주고받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00:00:00] AI 자동 시나리오 소개 및 데모

AI 에이전트를 통해 Make나 Anytime 시나리오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브라우저 확장으로 호출해 자동으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간단한 예시를 보여줍니다.

[00:00:35] 첫 번째 AI 코파일럿 동작 확인

텍스트 프롬프트 한 줄로 JSON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시연합니다. 생성된 코드를 복사해 붙여넣고, 테스트 워크플로우에서 바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00:00:52] 영상 구조 및 발표자 소개

이번 영상의 목표와 순서, 그리고 발표자인 Jack의 배경(7자리 수 매출 AI 자동화 비즈니스)과 지원 방식을 간략히 소개합니다.

[00:02:02] N8N 시나리오 구조 개요

Webhook 트리거 → Switch 모듈(텍스트·이미지 분기) → Sub-agent 호출 → Airtable 레코드 조회 → Golden Selector → Creator·Editor 모듈 → 결과 반환 흐름을 설명합니다.

[00:05:00] AI 코파일럿 Chrome 확장 생성

Chrome 확장 생성기 툴로 manifest.json, popup.html, popup.js, popup.css 등 필수 파일을 자동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코드를 편집해 웹훅 URL을 삽입하는 방법도 안내합니다.

[00:06:44] 확장 프로그램과 N8N 연동 테스트

로컬에 unpacked 확장으로 로드하고, N8N 시나리오의 Webhook 모듈에 복사한 URL을 붙여넣어 메시지 전송 및 응답을 확인하는 과정을 시연합니다.

[00:09:00] Switch 모듈로 텍스트/이미지 분기

Switch 모듈을 설정해 JSON.body.command 값이 비어 있는지 여부로 텍스트·이미지 입력을 분기 처리합니다. 각 경로에서 유저 요청을 변수로 설정해 다음 단계로 전달합니다.

[00:10:10] Sub-agent 워크플로우 구축

Airtable에서 레코드 조회 후 코드 모듈로 요약 텍스트를 생성합니다. Golden Selector로 관련 시나리오 ID 3개를 선택하고, 세부 JSON을 다시 조회해 Creator와 Editor로 자동 완성합니다.

[00:13:00] 전체 워크플로우 조립 및 검증

메인 시나리오와 Sub-agent를 결합해 실제 요청을 전송하고, 텍스트·이미지 모두에서 자동으로 JSON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한계와 오류 요소도 함께 확인합니다.

[00:17:00] 확장 방안 및 결론

메모리 기능 추가, 시나리오 임포트, Make.com 지원 등 업그레이드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커뮤니티 협업을 통해 1세대부터 10세대까지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