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클로드 코더들
[00:01]
클로드 코드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또 다른 튜토리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00:04]
오늘의 튜토리얼은 놓치고 싶지 않을 내용입니다
[00:07]
무샷 AI에서 출시한 Kimi K2라는 모델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이고, 이것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는 소식 말입니다
[00:13]
세상을 놀라게 하고 있어요
[00:15]
많은 소식들이 있지만, 세 가지로 요약해드리겠습니다
[00:19]
첫 번째, 클로드 4만큼 성능이 좋거나 더 강력합니다
[00:22]
두 번째로
[00:23]
클로드 4보다 최대 90% 저렴하게 실행할 수 있고
[00:27]
세 번째로, 올바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안다면
[00:30]
놀라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00:32]
이 세 가지에 더해서, 완전히 오픈소스입니다
[00:36]
오늘 튜토리얼에서는 이 새로운 모델을 클로드 코드와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00:39]
게다가 이 새로운 Kimi 모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00:43]
거의 모든 모델에서 클로드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00:46]
제 저장소에서 이런 기술들을 사용해서
[00:49]
1분 이상 걸리던 작업을 약 20초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었습니다
[00:52]
이런 속도 효율성과 비용 절약을 결합하면
[00:55]
시도해보지 않을 이유가 없죠
[00:57]
이것이 정말로 Aaro에게 위협이 되는 이유입니다
[01:01]
이 영상과 관련된 모든 것을 제 인사이더 클럽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01:04]
완전히 무료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01:06]
그 안에서 제 영상들과 관련된 많은 추가 자료들을 제공합니다
[01:09]
예를 들어, 전체 수업 요약과 앞으로 출시될 콘텐츠의 미리보기를 받을 수 있습니다
[01:13]
그리고 오늘 영상을 위해서는 설정 파일
[01:16]
스크립트, 그리고 모든 것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것들이
[01:20]
제 인사이더 클럽에서 무료로 제공됩니다
[01:23]
설명란의 링크를 클릭해서 이 모든 자료에 완전히 접근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01:27]
좋습니다
[01:27]
시작해봅시다
[01:28]
클로드 코드의 프로바이더를 변경하는 첫 번째 방법은
[01:32]
가장 간단한 방법이고 단 두 줄만 있으면 됩니다
[01:36]
커맨드 라인에서 두 개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01:39]
변수들을 설정하게 됩니다
[01:41]
ANTHROPIC_BASE_URL을 설정하게 되는데
[01:44]
Kim K2의 제작사인 무샷에서 제공하는 URL로 설정합니다
[01:48]
두 번째로 할 일은 ANTHROPIC_AUTH_TOKEN을 설정하는 것인데
[01:51]
Anthropic 토큰을 넣는 대신
[01:54]
여기에 Kimi API 키를 넣고 평소처럼 실행하면 됩니다
[01:58]
API 키를 얻기 위해서는
[02:01]
무샷으로 가세요
[02:02]
닷
[02:03]
platform.moonshot.ai를 입력하면 문서로 리다이렉트됩니다
[02:07]
우측 상단에 콘솔이 보일 것입니다
[02:08]
그것을 클릭하면
[02:11]
구글로 로그인할 수 있는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02:15]
로그인하면 여기에서 API Keys로 이동하세요
[02:18]
키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02:20]
여기를 클릭하세요
[02:21]
API 키 생성을 클릭하고, 원하는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02:25]
프로젝트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면 이 모델 팝업이 나타납니다
[02:32]
이 창을 닫기 전에 반드시 이 API 키를 복사하세요
[02:38]
한번 닫으면 다시는 볼 수 없습니다
[02:41]
그리고 터미널에 이것을 입력하기 전에 추가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02:45]
계정에 자금을 추가해야 합니다. 10달러 정도면 오늘 우리가 할 작업에는 충분하고
[02:50]
여러분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도 충분할 것입니다.
[02:53]
저는 이미 계정에 자금이 있어서
[02:56]
터미널로 돌아가겠습니다.
[02:57]
이 경우에는 여기 플레이스홀더를
[03:00]
방금 복사한 키로 교체하면 됩니다.
[03:03]
여기서 해야 할 일은 이 두 가지를 복사해서
[03:05]
터미널에 붙여넣고 평소처럼 Claude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03:09]
그러면 'overrides'라는 것이 표시되고
[03:12]
API base가 우리가 지정한 것으로 오버라이드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03:16]
이제 /init과 같은 모든 Claude 명령을 평소처럼 실행할 수 있습니다.
[03:21]
그러면 모든 것이 평소와 같아 보이지만
[03:26]
실제로는 Moonshot 팀에서 실행되고 있습니다.
[03:29]
이 명령이 무엇인지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설명하면
[03:33]
기존 코드베이스를 스캔하고
[03:36]
Claude가 구조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03:40]
프로젝트 루트에 생성될 CLAUDE.md 파일로
[03:44]
모든 것을 준비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03:49]
충분한 컨텍스트를 제공합니다.
[03:52]
init 명령과 Claude Code 사용에 대한
[03:55]
7가지 다른 해킹을 다룬 이전 영상을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03:59]
꼭 확인해보세요. Claude Code를 최대한
[04:02]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팁을 제공합니다.
[04:05]
이제 완료된 것을 볼 수 있고
[04:07]
파일 탐색기를 열면
[04:09]
여기에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04:11]
이 CLAUDE.md 파일은 미리보기로 열어보면
[04:14]
이 프로젝트의 전체 개요를 제공합니다.
[04:16]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정말 정확한 그림을
[04:18]
이 저장소에 대해 얻었습니다.
[04:19]
이것은 실제로 제 Google Agent 개발 킷
[04:23]
크래시 코스의 소스 코드가 포함된 전체 저장소로
[04:26]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구축을 위한 Google의 최신 AI 스택 사용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룹니다.
[04:32]
이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04:35]
아래 설명에서 이 크래시 코스에 대한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04:39]
여기 있습니다.
[04:39]
이제 터미널에서 이러한 export를 간단히 교체하여
[04:44]
Claude를 moonshot 호스팅 URL로 리다이렉트하여 Kimi K2 모델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셨습니다.
[04:48]
하지만 이러한 환경 변수를 매번 설정하는 것은 꽤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특히 새 터미널을 만들거나 새 세션으로 반복 실행할 때 말이죠.
[04:54]
그래서 여기서 할 수 있는 한 가지 빠른 팁은 Bash RC 파일을 열거나 Mac이라면 ZshRC 파일을 여는 것입니다.
[04:59]
여기에서 cursor로 열어보겠습니다. 여기서 할 수 있는 것은 파일 상단에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드는 것으로, 저는 이것을 Kimi라고 부르겠습니다.
[05:08]
그리고 이 함수 자체 내에서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05:11]
이전에 얻은 토큰으로 여기 플레이스홀더 토큰을 교체하고
[05:16]
저장하겠습니다.
[05:20]
그런 다음 여기서 할 수 있는 것은 source와 bashrc 파일을
[05:23]
실행하는 것입니다.
[05:36]
또는 터미널을 종료하고 새로운 터미널을 열어도 됩니다.
[05:39]
그냥 Kimi를 입력하면 변수들을 설정하고 Claude Cod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05:43]
이렇게 하면 한 줄로 Claude Code를 실행할 수 있죠.
[05:46]
이제 모든 환경 변수가 설정된 상태로 Kimi와 함께 Claude Cod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05:49]
환경 변수들이 단일 명령어로 설정되니까 말이죠.
[05:52]
이건 정말 편리한 기능이고 좋은 해킹 방법입니다.
[05:54]
매번 환경 변수를 설정할 필요가 없거든요.
[05:57]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작업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06:01]
현재 API가 상당한 부하를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06:03]
실제로 생성 속도가 지금 더 느려졌는데, 많은 사람들이
[06:07]
이 API URL에 접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Kimi 모델에
[06:11]
접근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방법은
[06:14]
다른 모델들로도 확장할 수 있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06:18]
단일 URL에 접근하는 상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06:22]
두 번째 방법으로 Claude Code를 다른 모델과 함께
[06:25]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Claude Code Router라는
[06:28]
훌륭한 프로젝트를 사용할 것입니다.
[06:31]
이 프로젝트는 Claude Code가 다른 모델들에게
[06:35]
요청을 보낼 수 있게 해주고, 원한다면 요청을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어서 정말 멋집니다.
[06:40]
Kimi뿐만 아니라 DeepSeek도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06:42]
Ollama를 사용해서 로컬 LLM에 대해서도 실행할 수 있고,
[06:46]
Gemini에 대해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06:49]
하지만 이것의 장점 중 하나는 Open Router라는
[06:52]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Open Router는 LLM에 접근하는 통합된 방법입니다.
[06:57]
이것은 단일 베이스 URL을 사용해서 여기서 보시는
[07:01]
400개가 넘는 다른 모델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07:05]
하지만 Open Router의 장점은 모델의 수만이 아니라
[07:08]
이러한 모델들의 제공업체 수에 있습니다.
[07:10]
예를 들어, 여기 Kimi K-2로 가보면, 이전에는
[07:15]
Moonshot AI의 자체 플랫폼을 통해 접근했었습니다.
[07:18]
이것은 때때로 지연 시간이나 처리량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07:22]
Open Router를 사용하면 같은 모델, 이 경우 Kimi K2에
[07:25]
다른 제공업체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07:27]
예를 들어, 여기 보시는 것처럼 미국에 있는
[07:31]
제공업체는 지연 시간을 제공합니다.
[07:33]
Moonshot을 통해 접근하는 것보다 거의
[07:37]
한 자릿수 낮은 지연 시간을 말이죠.
[07:38]
그래서 Open Router는 이러한 다른 모델들과
[07:42]
제공업체에 접근하는 정말 좋은 방법을 제공합니다.
[07:44]
그리고 제가 언급했듯이 Kimi K2를 넘어서 많은 다른 모델들이 있습니다.
[07:47]
Mistral도 있고,
[07:48]
X AI의 Groq도 있습니다.
[07:51]
그리고 Google의 Gemini 모델들과 많은 다른 것들도 있습니다.
[07:53]
이 Claude Code Router를 통해 Open Router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은
[07:58]
Claude Code를 사용하는 정말 강력한 방법입니다. 이 라우터의 가장 좋은 점은
[08:03]
단일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복잡한 부분은
[08:07]
Claude Code Router config.js라는 것을 구성하는 것인데, 원하는
[08:11]
제공업체를 지정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08:15]
경우에 따라서는
[08:17]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08:20]
추가적인 구성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08:21]
이 경우에는 트랜스포머라고 불립니다.
[08:22]
Open Router 제공업체를 사용할 때는
[08:26]
오픈라우터 트랜스포머를 사용해야 합니다.
[08:27]
제미나이 모델을 사용할 때는 제미나이 라우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08:30]
다른 경우에는 아예 라우터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08:33]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직접 사용하는 설정 파일의 정확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08:36]
제가 직접 사용하는 설정 파일이죠.
[08:38]
이를 통해 원하는 모든 제공업체와 모델에 대해 Claude Co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08:41]
원하는 모든 모델을 말이죠.
[08:43]
자, 시작해보겠습니다.
[08:44]
실제로 이를 수행하는 방법은 터미널에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하는 것입니다.
[08:48]
커서로 돌아가서 새 터미널을 생성하겠습니다.
[08:51]
그리고 위에 있는 설치 명령어를 붙여넣겠습니다.
[08:56]
설치가 완료되었으니 화면을 다시 지우고
[09:01]
이제 CCR만 입력하면 됩니다.
[09:04]
help를 입력하면 어떤 다양한 기능들이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09:07]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CCR을 입력한 다음 start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09:12]
처음 실행할 때는 사용하고자 하는 첫 번째 제공업체와 모델을 설정하라고 요청합니다.
[09:17]
처음 실행할 때 말이죠.
[09:21]
사용하고자 하는 첫 번째 제공업체와 모델을 설정해야 합니다.
[09:23]
우리가 할 일은 Moonshot AI 자체의 제공업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09:25]
Moonshot AI 자체에서 제공하는 것이죠.
[09:28]
이렇게 하면 이전에 export 방식으로 Claude Code를 실행했을 때와
[09:31]
성능상 가장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09:34]
이걸 조금 위로 올리겠습니다.
[09:35]
이 경우에는 moonshot이라고 부르겠습니다. 그리고 provider key입니다.
[09:38]
여기 있는 이 키는 이전에 Moonshot에서 받은 키입니다.
[09:42]
그래서 이것을 붙여넣겠습니다.
[09:45]
그리고 provider URL입니다.
[09:46]
이것은 이전에 사용했던 것과는 다릅니다.
[09:50]
이전에는 api.moonshot.ai/anthropic을 사용했었습니다.
[09:53]
이번에는 api.moonshot.ai/v1을 사용할 것입니다.
[09:58]
그리고 이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09:59]
/chat/completions를 붙여야 합니다. 그리고 모델 이름은
[10:02]
다음과 같습니다.
[10:04]
kimi-k2-20711-dash가 될 것입니다.
[10:08]
좋습니다. 이제 라우터가 실행 중이므로
[10:11]
이 라우터를 사용하여 Claude Code를 시작하는 방법은 CCR을 입력한 다음 space code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10:17]
Claude Code가 시작되면서 좋습니다. 이제 이것이 나타났네요.
[10:21]
API 기반 URL이 localhost의 어떤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0:25]
그리고 이것은 실제로 왼쪽에서 볼 수 있는 라우터에 연결되고 있습니다.
[10:29]
이제
[10:30]
모든 요청이 moonshot ai의 Kimi 모델로 전송될 것입니다.
[10:33]
실제로 이제 테스트해보겠습니다.
[10:35]
이전처럼 /init을 실행하겠습니다.
[10:38]
왼쪽에서 라우터가 실제로 moonshot AI 엔드포인트와
[10:40]
주고받는 모든 메시지를 처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0:44]
그리고 이전에 export 방식으로 실행했을 때처럼
[10:48]
실제로 init 단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0:51]
이것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보겠습니다.
[10:53]
마지막에 파일 구조 내에 CLAUDE.md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10:57]
파일 구조 내에 말이죠.
[10:59]
이제 완료되었고 이 편집을 수행해야 한다고 나오네요.
[11:03]
그래서 예라고 하겠습니다.
[11:04]
이걸 아래로 내리겠습니다.
[11:06]
이전과 매우 비슷한 작업을 수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1:09]
효과적으로 이 저장소의 요약과 함께
[11:12]
CLAUDE.md 파일을 초기화했습니다.
[11:16]
좋습니다.
[11:16]
이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기 위해서 라우터의 설정 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 cursor를 사용해서
[11:19]
~/.claude-code-router/config.json 경로에 접근해보겠습니다.
[11:25]
좋습니다. 이제 설정 파일이 나타났는데
[11:29]
providers 아래를 보시면
[11:32]
하나의 프로바이더가 있습니다.
[11:34]
이것이 실제로 우리가 설정한 프로바이더이고
[11:37]
여기서 주목할 점은 기본 라우터가 하나 있다는 것입니다.
[11:40]
이 경우에는 Moonshot 프로바이더가 되겠죠. 여기서 지정한 것처럼요.
[11:44]
그리고 여기 있는 이 모델이 있고
[11:47]
여기 있는 구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11:51]
알겠죠?
[11:51]
실제로 이것을 보면 API 총 소요 시간이
[11:54]
1분 13초였습니다.
[11:56]
이전 결과와 빠르게 비교해보면
[11:58]
약 1분 47초였죠.
[12:00]
그리고 이것은 이전보다 몇 시간 후에 실행한 것입니다.
[12:03]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데, 결국 같은 베이스 URL인 moonshot ai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2:10]
따라서 처리 방식이 서로 크게
[12:13]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2:14]
이제 이 방법으로 완료했으니
[12:16]
Kimi K2 모델을 사용하는
[12:18]
다른 접근 방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2:20]
Open Router를 사용하는 것이죠. Open Router를 사용하는 이유는
[12:23]
요청을 처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프로바이더로 자동으로 전환해주기 때문입니다.
[12:27]
문제의 크기와 매개변수에 따라서 말이죠.
[12:28]
따라서 다양한 프로바이더 간에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됩니다.
[12:32]
Moonshot AI 하나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요.
[12:34]
방법은 여기에 새 항목을 만들고
[12:36]
이전과 같은 구조를 복사하는 것입니다.
[12:41]
이 경우 이름은 open router로 하겠습니다.
[12:44]
그리고 API 베이스 URL의 경우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12:48]
chat/v1/chat/completions 엔드포인트를 사용하되
[12:52]
이번에는 open router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12:53]
여기 있는 API 키는 open router 자체에서
[12:56]
생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12:57]
open router로 전환해보겠습니다.
[12:59]
keys로 가서 여기에 새로 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13:03]
이름은 클로드 튜토리얼이라고 하겠습니다.
[13:07]
이것을 생성하면 키가 여기 있습니다.
[13:10]
다시 말하지만, 이것을 즉시 복사해야 합니다.
[13:14]
이 모달을 닫으면 완전히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
[13:16]
여기에 키를 입력하겠습니다.
[13:20]
지금 두 개를 지정해보겠습니다.
[13:23]
첫 번째로 보실 것은 Open Router가 모델을 식별하는 방식이
[13:26]
Moonshot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 이름들은
[13:29]
Open Router 자체에 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31]
여기서 보시는 것처럼
[13:33]
Kimi K2는 moonshot-ai/kimi-k2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13:38]
여기에 입력했고 실제로 두 번째 모델도 추가했습니다.
[13:41]
비교를 위해서 Google Gemini 2.5 Pro를 어떻게 입력하는지 보여드리기 위해서요.
[13:45]
Gemini 2.5 Pro를 검색하면
[13:49]
여기 있는 슬러그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3:52]
이것이 open router 내에서 다양한 모델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13:55]
마지막으로 여기서 기본값을 변경하겠습니다.
[13:59]
Claude Code Router를 설정해서 OpenRouter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것은 이게 전부입니다.
[14:02]
OpenRouter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14:03]
바로 시도해보겠습니다.
[14:05]
새 터미널을 생성하겠습니다.
[14:06]
CCR Start를 실행하겠습니다. 잘 됐네요. 여기 있습니다.
[14:11]
사이트 터미널을 다시 열고, CCR Code를 실행하겠습니다.
[14:20]
여기서 보시면, 다시 한번 왼쪽에서 라우터에 접속하고 있습니다.
[14:23]
그리고 오른쪽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14:26]
API 베이스 URL이 localhost를 가리키고 있어서 이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14:30]
Claude.md 파일을 삭제하고 다시 한번 실행해보겠습니다.
[14:39]
좋습니다.
[14:40]
여기서 보시면 API 오류라고 나오네요.
[14:43]
캐시 컨트롤을 지원하는 엔드포인트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옵니다.
[14:46]
이런 오류가 나는 이유는 OpenRouter용 설정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14:49]
OpenRouter용 설정 파일에 말이죠.
[14:51]
모델 다음에는 트랜스포머를 지정하고 OpenRouter 트랜스포머를 사용해야 합니다.
[14:55]
OpenRouter 트랜스포머를 사용해야 합니다.
[14:57]
기본적으로 이런 트랜스포머들은 Claude Code 요청을 다른 엔드포인트에 맞게 적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5:01]
다른 엔드포인트에 접속할 때 말이죠.
[15:02]
OpenRouter 벤더의 경우, 엔드포인트에 접속할 때 각기 다른 벤더들이
[15:06]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15:09]
그래서 여기 있는 트랜스포머들이
[15:11]
적절하게 적응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15:14]
README를 읽어보시면, 이 트랜스포머가
[15:16]
캐시 컨트롤 매개변수를 제거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봤던 문제였죠.
[15:21]
잠시 이걸 종료하고 터미널을 다시 지우겠습니다.
[15:25]
다시 한번 실행해보겠습니다.
[15:29]
CCR Start를 하고 오른쪽에서 CCR Code를 실행합니다.
[15:34]
/init을 입력하고 실행해보겠습니다.
[15:40]
이제 시작됐고 OpenRouter를 사용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15:45]
로컬에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15:47]
Moonshot AI 엔드포인트가 아닌 OpenRouter 엔드포인트에 접속하고 있습니다.
[15:52]
Claude Code Router를 사용할 때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가끔 두 번의 호출 후에
[15:55]
계속 진행하려면 다시 프롬프트를 입력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15:59]
이런 일이 가끔 발생하는데, 개발팀에서도 이 문제를 알고 있습니다.
[16:02]
개발팀에서도 이 문제를 알고 있습니다.
[16:04]
이런 일이 발생하면 그냥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됩니다.
[16:07]
저에게는 이런 일이 꽤 산발적으로 일어납니다.
[16:10]
Moonshot API에서 봤듯이 때로는 전혀 발생하지 않기도 하고
[16:13]
다른 경우에는 꽤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16:16]
어쨌든, 이걸 해결하는 방법은 그냥 아무 프롬프트나 추가하는 것입니다.
[16:20]
보통 저는 'continue'를 사용하면 이걸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16:24]
이게 현재 해결책입니다.
[16:26]
마침내 여기서 완료됐네요.
[16:27]
Claude Code에 저장하겠다고 예스를 누르겠습니다.
[16:30]
CLAUDE.md 파일에 저장하겠습니다.
[16:32]
이전과 매우 비슷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16:35]
CLAUDE.md 파일에 프로젝트 개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 시간 요약을 보면
[16:38]
이전에 실행했을 때와 빠르게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16:41]
이전에 실행했을 때와 말이죠.
[16:43]
지난번 API 호출 시간은 대략 1분 15초였습니다.
[16:46]
지난번에는 말이죠.
[16:48]
이번에는 약 1분 정도로 조금 더 빨랐습니다.
[16:51]
좋습니다. 이제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보여드렸습니다.
[16:53]
OpenRouter를 사용할 수 있고, 완성도를 위해 실제로 Gemini 2.5 Pro로 교체할 수도 있습니다.
[16:56]
여기서요. 이 경우엔 CCR start와 CCR code를 따로 실행하지 않겠습니다.
[16:59]
바로 CCR code를 실행할 건데, 이렇게 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17:03]
이 플러그 MD 파일을 다시 삭제하고 실행해보겠습니다.
[17:06]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해보죠. 이 경우에는 Claude Code를 사용해서 OpenRouter에 요청을 보낼 건데, 이번에는 Gemini 2.5 Pro 모델을 사용하게 됩니다.
[17:13]
이것이 바로 Claude Code Router와 OpenRouter를 함께 사용하는 힘입니다. 이제 OpenRouter가 제공하는 모든 프로바이더와 함께 Claude Code를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17:18]
완료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라고 답하면 여기서 파일 작성을 완료할 텐데, 지금 바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7:25]
요약도 완료되었네요. 콘솔을 종료하겠습니다. 대략 1분 2초가 걸렸습니다.
[17:31]
앞서 실행했을 때와 매우 비슷하네요. 다른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약간 다른 요약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17:38]
Claude Code Router와 OpenRouter를 함께 사용하는 것의 장점이 바로 이것입니다. 이제 거의 모든 모델과 함께 Claude Code를 사용할 수 있게 됐거든요.
[17:45]
마지막으로 보여드리고 싶은 건 Moonshot을 직접 사용하거나 OpenRouter를 사용하는 대신, Groq라는 다른 것이 있다는 점입니다.
[17:52]
Q가 들어간 Groq인데, 트위터나 X AI의 GR River K와 혼동하지 마세요. 여기서 Groq는 OpenRouter와 매우 비슷한 플랫폼이지만, 추론을 위해 모델을 제공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매우 빠릅니다.
[18:00]
이는 Kimi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 내의 모든 다른 모델에도 적용됩니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OpenRouter에 비해 모델은 적지만 훨씬 빠른 경향이 있습니다.
[18:07]
트위터나 X를 통해 Groq를 사용할 때와 OpenRouter를 사용하거나 Moonshot API를 직접 사용할 때의 속도 비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roq가 제공하는 속도를 Claude Code와 함께 활용할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18:17]
지금 바로 그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설정 파일로 다시 돌아가서 여기에 프로바이더를 하나 더 추가하겠습니다. 이 경우에 이름을 설정할 건데요.
[18:24]
API base는 api.groq.com/openai/v1/chat/completions가 될 것입니다. 위에서 설정했던 것과는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Groq 도메인에 요청을 보낸다는 점입니다.
[18:34]
API 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매우 비슷합니다. 여기서 API 키 생성을 클릭할 수 있고, Groq의 API 키 발급 방식이 정말 마음에 듭니다. 대시보드 앞쪽에 바로 있거든요.
[18:42]
이걸 복사해서 여기에 붙여넣겠습니다. 그리고 여기 모델의 경우 실제로는 Moonshot AI Kimi-K2-instruct인데, OpenRouter와도 다르고 Moonshot 직접 사용과도 다릅니다.
[18:49]
Kimi 모델은 실제로 약간 숨겨져 있습니다. 실제로는 여기에 있어요.
[19:36]
여기를 클릭하면 슬러그가 moonshot AI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9:41]
슬래시 Kimi 대시 K two 대시 instruct입니다.
[19:44]
이걸 복사해서 붙여넣을 수 있는데, Cursor가 자동으로 완성해줬네요.
[19:47]
자동으로 완성해줬네요.
[19:48]
이제 이것이 작동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는 다음 트랜스포머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19:51]
다음 트랜스포머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19:53]
네.
[19:54]
먼저 해야 할 일은 open router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19:57]
이전과 같이 말이죠. 그리고 나서 이 커스텀 트랜스포머를 추가해야 합니다
[20:00]
여기서 최대 토큰을 직접 설정합니다.
[20:04]
추론이 작동하려면 이런 방식으로 제공해야 합니다.
[20:07]
좋아요, 새 터미널을 다시 만들어보겠습니다.
[20:09]
지금 꽤 많이 쌓여있네요.
[20:11]
CCR code를 실행해보겠습니다.
[20:14]
아, 그리고 잊기 전에 기본 라우터를 Claude 설정에서 정의한 것으로 바꿔야 합니다.
[20:19]
Claude 설정에서 정의한 것으로 바꿔야 합니다.
[20:22]
네?
[20:23]
좋아요.
[20:23]
CCR code를 실행해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Claude Code를 실행하겠습니다.
[20:28]
Claude Code를 실행하겠습니다.
[20:30]
그리고 다시 /init을 실행해보겠습니다.
[20:33]
Init을 실행하고 어떻게 되는지 보겠습니다.
[20:37]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오고 파일 시스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20:40]
파일 시스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20:43]
보시다시피 이전에 봤던 다른 제공업체들보다 훨씬 빠르게 완료되었습니다.
[20:48]
다른 제공업체들보다 훨씬 빠르게 완료되었습니다.
[20:50]
Open Router와 Moonshot 모두에서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의 약 3분의 1 정도입니다.
[20:53]
Open Router와 Moonshot 모두에서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의 약 3분의 1 정도입니다.
[20:57]
이렇게 해서
[20:57]
Claude Code를 커스텀 모델과 함께 사용하는
[20:59]
4가지 다른 방법을 보여드렸습니다.
[21:01]
첫 번째 방법은 export 경로를 지정하는 것이었지만, 모든 모델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1:05]
모든 모델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1:06]
두 번째 방법은 Claude Code router를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21:09]
제공업체 자체의 V check completions 엔드포인트에 접근하는 방법이었습니다.
[21:12]
그리고 세 번째 방법은 Open Router를 사용하는 것으로, 400개 이상의 다양한 모델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21:16]
400개 이상의 다양한 모델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21:18]
Open Router의 자동 전환과 폴백 메커니즘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21:20]
폴백 메커니즘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21:22]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가 시연한 방법은 Groq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21:26]
놀라울 정도로 빠른 추론 속도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21:30]
Claude Code 사용에 대해 제가 언급하지 않은 한 가지는
[21:32]
Claude Code Router에서 기본 라우터뿐만 아니라 실제로 지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1:36]
readme를 확인해보면 다른 작업에 대해 다른 모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1:38]
다른 작업에 대해 다른 모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1:40]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모델을 설정할 수 있는데, 사람들이 보통 매우 작은 로컬 실행 LLM으로 설정합니다
[21:43]
매우 작은 로컬 실행 LLM으로 설정합니다.
[21:46]
하지만 이는 오늘 튜토리얼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21:49]
Claude Code를 최적화하고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21:51]
다양한 모델로 Claude Code router를 사용하는 제 설정을 보고 싶으시다면
[21:55]
댓글로 알려주세요.
[21:56]
충분한 관심이 있다면 그것을 보여주는 튜토리얼을 만들 수 있습니다.
[22:00]
오늘 튜토리얼이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22:01]
도움이 되었다면 이 영상에 좋아요를 누르는 것을 잊지 마시고
[22:05]
구독 버튼을 누르고 알림을 켜는 것도 잊지 마세요
[22:08]
이런 새로운 튜토리얼이 업로드될 때마다 가장 먼저 알 수 있도록 말이죠.
[22:11]
Claude Code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제 다른 영상을 아직 보지 않으셨다면
[22:15]
적극 추천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Claude Code로 작업할 때
[22:18]
가장 좋은 8가지 팁들이 가득 담겨있습니다.
[22:21]
Claude Code로 작업할 때 최고의 팁들입니다.
[22:23]
바로 여기에서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2:25]
그럼 다음번까지, 안녕히 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