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코드(Claude Code)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채널 아이콘
GosuCoder 구독자 9,180명

요약

이 영상에서는 Claude Code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팁과 기법을 소개합니다. 단순히 AI에게 코드를 맡기는 것이 아니라, 플랜 모드(plan mode), XML 기반 태그 활용, 커스텀 슬래시 커맨드, TDD(테스트 주도 개발) 프롬프트 등 여러 기능을 조합해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울러 Git 통합, 스크린샷 활용, 대화 내역 재개와 같은 실전 노하우를 통해 복잡한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잘못된 결과물은 과감히 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유연한 접근법도 강조합니다.

주요 키워드

Cloud Code plan mode XML 태그 슬래시 커맨드 TDD(테스트 주도 개발) Git 통합 백그라운드 작업 스크린샷 활용 Ultra Think CLI 도구

하이라이트

  • 🔑 플랜 모드(plan mode): Shift+Tab, Tab만으로 Claude와 대화를 통해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한 번에 실행할 수 있어 작업 흐름이 매끄러워집니다.
  • ⚡ 협업 상대처럼 대화하기: 클래식 IDE에서 동료 엔지니어에게 묻듯이 질문하면 API 이름 조회, 오류 원인 분석 등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 XML 태그 프롬프트: <instructions>, <requirements>, <testing> 같은 XML 기반 태그를 사용해 명확한 역할 분담과 참조가 가능한 대규모 프롬프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Git 통합: cloud code 내부에서 커밋, 메시지 생성, 푸시까지 CLI 없이 바로 처리해 개발 주기를 단축할 수 있습니다.
  • 🌟 커스텀 슬래시 커맨드: do.cloud 폴더에 명령어 정의 파일을 추가해 자주 쓰는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함으로써 반복 작업을 줄입니다.
  • 📌 백그라운드 작업(dash -p): 터미널에서 승인 없이도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실행해 아이디어를 빠르게 프로토타입할 수 있습니다.
  • ⚡ 스크린샷 활용: 터미널에 이미지를 드래그 앤 드롭해 UI 버그나 디자인 이슈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 TDD 프롬프트: 테스트, 구현, 규칙 태그로 구분해 테스트 주도로 기능을 개발하고, 코드를 안전하게 검증할 수 있습니다.
  • 🔑 Ultra Think 모드: 코드베이스 탐색, 계획 수립, 서브 에이전트 활용까지 자동화해 복잡한 기능도 체계적으로 구현합니다.
  • ⚡ 과감한 재시작: AI가 엉뚱하게 동작할 때 억지로 수정하기보다 커밋하고 리셋해 새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유연한 접근이 생산성을 높입니다.

용어 설명

Cloud Code

클로드 코드(Claude Code) CLI 기반 AI 코딩 도구로, 터미널에서 코드 작성, 수정, Git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plan mode

Shift+Tab, Tab 키를 통해 Claude가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확인 후 한번에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XML 태그 프롬프트

<instructions>, <requirements>, <testing> 등의 XML 형식 태그로 역할을 구분해 프롬프트 작성 시 명확성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슬래시 커맨드

do.cloud 폴더에 마크다운 파일을 등록해 /명령어 형태로 사용자 정의 작업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TDD(테스트 주도 개발) 프롬프트

AI에게 테스트, 구현, 규칙 태그를 제공해 먼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도록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00:00:00] 인트로 및 사용자 의견 분열

Claude Code를 써본 사용자들 사이에 호불호가 극명히 갈리는 이유를 고민합니다. 단순한 CLI 경험 차이가 아니라 사용 방법에 따른 효과 차이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영상에서 다룰 팁들을 예고합니다.

Claude Code에 대한 극명한 반응 차이를 소개하며, 사람들이 왜 이렇게 다른 경험을 하는지 분석해보겠다고 설명합니다.
[00:00:55] 팁 1: 플랜 모드 사용하기

Shift+Tab, Tab으로 플랜 모드를 켜면 Claude와 실행 계획을 대화 형식으로 만들고, 확인 후 한번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단순 한줄 명령보다 체계적인 워크플로우 구축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 팁으로 새로운 '플랜 모드' 기능을 소개합니다. Shift+Tab+Tab을 누르면 Claude와 대화하여 계획을 세우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두 번째 팁은 Claude를 팀원처럼 대하라는 것입니다. 다른 엔지니어와 대화하듯 코드에 대해 질문하고, API 이름을 잊었을 때도 자연스럽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00:01:48] 팁 2: 동료처럼 대화하기

마치 다른 엔지니어와 협업하듯 클래스로 명시하지 않아도 코드를 설명하고 질문하면 빠르고 정확한 응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API 이름 모를 때, 오류 로그 분석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세 번째로 정확한 지시를 주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컴포넌트나 파일을 구체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지정하면 더 빠르게 작업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실제 500 서버 에러를 해결한 경험을 예시로 들며, Claude가 복잡한 작업 없이도 문제를 해결해준다고 설명합니다.
복잡한 작업 없이도 Claude가 코드 설명을 매우 잘 수행한다고 설명하며,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로그인 API 형식에 대한 질문에 훌륭하게 답변하는 예시를 제시합니다.
[00:02:56] 팁 3: 정밀한 요청 작성하기

특정 파일과 함수, 문제 상황을 명확히 지정해 ‘끼워넣기’ 방식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하면 원하는 부분만 코딩하거나 분석하도록 Claude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하고 외과적인 접근 방식을 추천하며, 파일별로 구체적인 함수 추가나 LTV 계산 차이 분석 등 정밀한 작업 지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코딩보다는 문제 파악에 집중하는 접근법을 설명하고, 작업을 시작한 후 다른 업무를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소개합니다.
[00:03:58] 팁 4: XML 태그로 대규모 프롬프트 구성

<instructions>, <requirements>, <testing> 같은 커스텀 XML 태그를 활용해 대형 기능 요청 프롬프트를 구성합니다. Claude가 태그를 인식해 역할별 처리와 참조가 원활해집니다.

긴 프롬프트 작성 시 XML 태그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새로운 기능이나 큰 작업에서 더욱 정확한 지시가 필요함을 설명합니다.
Windows 환경에서 다수의 메모장을 활용한 작업 방식을 공개하고, instructions, requirements, testing 등의 XML 태그 형식을 Claude Code가 잘 따른다고 설명합니다.
AWS Cognito Lambda CDK를 사용한 서버리스 사용자 인증 시스템 구축의 실제 예시를 제시하며, AI로 초기 생성 후 수동 수정하는 워크플로우를 설명합니다.
Claude Anthropic이 XML 기반 태그 훈련에 대해 언급한 점을 설명하고, 프롬프트 내에서 태그를 상호 참조하는 고급 기법을 소개합니다.
프로덕션 프롬프트에서의 XML 태그 활용과 Claude 외부에서 프롬프트를 작성한 후 복사-붙여넣기하는 실무 방법을 제시합니다.
초기화 명령어를 사용한 claude.md 파일 생성과 지속적인 업데이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전 영상에서 다뤘던 내용임을 언급합니다.
[00:05:26] 팁 5: cloud.md와 init 관리

`/init` 명령으로 프로젝트 초기 설정을 관리하고 `cloud.md` 파일에 변경 내역을 기록하도록 지시합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 문서화 상태를 유지합니다.

slash init 명령어는 매우 강력한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모르는 유용한 도구라고 소개합니다.
[00:05:44] 팁 6: 대화 재개하기

`claw continue` 명령으로 이전 대화를 불러와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긴 작업이나 중단된 세션을 이어갈 때 유용합니다.

작업을 마치고 Claude를 종료한 후에도 continue 명령어로 이전 대화를 쉽게 불러올 수 있으며, Claude 로그를 통해 대화 ID를 직접 가져오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합니다.
[00:06:11] 팁 7: Git 통합

터미널 내에서 `commit`, `push` 명령을 사용해 Git 작업을 수행하고, 필요한 커밋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별도 터미널 전환 없이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합니다.

이전에는 GitHub 작업을 위해 별도 터미널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Claude Code에서 직접 commit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 add부터 commit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커밋 메시지 생성 기능과 push 기능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git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고 언급합니다.
claude -p 명령어를 사용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 아바타 URL 첨부 기능 같은 작업을 사용자 개입 없이 완료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00:07:14] 팁 8: 백그라운드 작업 (dash -p)

`claw -p` 옵션으로 승인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실행해 여러 아이디어를 동시에 프로토타입할 수 있습니다. 코드스펙트럼처럼 에이전트로 활용 가능합니다.

이 기능을 로컬 Codex처럼 활용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시작할 수 있지만, 상호작용성이 제한되므로 대화나 반복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Claude Code의 커스텀 슬래시 명령어 기능을 소개하며, .claude 폴더에 commands 폴더를 만들고 마크다운 파일로 자신만의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00:08:31] 팁 9: 커스텀 슬래시 커맨드

do.cloud/commands 폴더에 명령어 정의 파일을 추가해 `/update-docs` 등 자주 쓰는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합니다. 반복 작업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습니다.

문서 업데이트 명령어 예시를 보여주며, 프로젝트 평가부터 문서 업데이트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nthropic에서 추천하는 GitHub 이슈 자동 처리 명령어를 소개하며, 이슈 분석부터 PR 생성까지 전체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00:09:34] 팁 10: AI 간 상호 검토 워크플로우

Claude로 생성한 코드를 다른 AI(예: Opus, Sonnet)에서 리뷰하고, 피드백을 Claude에게 다시 전달해 반복 개선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합니다.

Claude가 만든 작업을 다른 Claude 인스턴스가 리뷰하는 워크플로우를 설명하며, 새로운 컨텍스트에서 문제점을 찾고 반복 개선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스크린샷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터미널에 직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고, WSL과 리눅스에서도 잘 작동한다고 설명합니다.
[00:10:38] 팁 11: 스크린샷 활용

터미널에 이미지 드래그 앤 드롭으로 UI나 디자인 이슈를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 WSL, Linux 환경에서 모두 지원되어 직관적인 설명이 가능합니다.

스크린샷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AI에게 알려주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TDD(테스트 주도 개발) 프롬프트 예시를 소개하며, XML 형식으로 test, implementation, rules 세 가지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00:11:24] 팁 12: TDD 프롬프트

<test>, <implementation>, <rules> 태그로 테스트 주도 개발 방식을 프롬프트에 반영합니다. AI가 먼저 테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통과하도록 기능 구현을 반복하게 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를 먼저 구현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TDD 방식의 장점과 강력함을 언급합니다.
[00:12:18] 팁 13: Ultra Think 모드

‘Please ultra think...’ 지시어로 코드베이스 탐색, 계획 수립, 서브 에이전트 사용 등 복잡한 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Claude에 요청합니다.

Ultra Think와 다른 요소들을 조합한 프롬프트를 소개하며, 코드베이스 탐색과 서브 에이전트 활용에 대해 설명합니다.
아이 프로필 테이블 구현 예시를 통해 구체적인 요구사항 명세와 AI의 작업 과정을 보여줍니다.
AI가 생성한 작업 목록의 품질과 구현 결과에 대해 만족감을 표현하며, Sonic 4 모델로도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AI가 생성한 코드를 과감히 버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AI가 잘못된 방향으로 갔을 때 이를 수정하려고 시간을 낭비하는데, 차라리 커밋하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낫다고 설명합니다.
[00:13:45] 팁 14: 결과물 과감히 재시작하기

AI가 엉뚱하게 작업할 때 억지로 수정하기보다 커밋 후 프롬프트를 리셋해 다시 시작하는 유연한 접근을 권장합니다. 제작 비용이 저렴해진 만큼 과감한 재시작이 효율적입니다.

코드 생성이 저렴해진 현재 상황에서는 잘못된 코드를 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강조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Claude Code에 대한 극명한 의견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싶다고 언급합니다.
[00:14:22] 결론 및 전망

CLI 경험 차이로 인한 사용성 갈등을 이해하며, Claude Code를 다양한 기법으로 활용하면 프로그래밍이 더 즐거워진다고 결론 짓습니다. 추가 팁과 개선 사례를 계속 모아갈 계획을 밝힙니다.

Claude Code를 좋아하거나 싫어한다는 다양한 피드백을 받고 있다고 설명하며, CLI 기반이 아닌 사용자들에게는 다른 경험일 수 있다고 인정합니다. Cursor도 여전히 사용하지만 Claude Code도 프로그래밍을 재미있게 만든다고 평가합니다.
Claude Code가 제공하는 통제권과 유연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원샷 방식부터 깊이 있는 작업 목록 생성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놀랍다고 강조합니다.
솔직히 너무 놀라운 건, 사람들 사이의 엄청난 괴리감인데요
왼쪽에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말해요
"당신 추천으로
Claude Code를 써봤는데
다른 사람들과는 완전히 다른 의견이에요
정말 끔찍했어요"
그런데 오른쪽에 있는 사람들은
Claude Code가
프로그래밍을 다시 재미있게 만들어줬다고 해요
아시다시피 저는 오른쪽에 더 가깝고요
계속 생각해봤어요. 왜 이렇게
Claude Code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완전히 싫어하는 사람들로
나뉘는지 말이에요. 그리고
아마도 제가 사용하는 방식
때문이 아닐까 싶어서, 오늘
제가 배운 모든 것들을
분석해보려고 해요. 실제로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담으려고 했고
제가 사용하는 모든 기법들을 하나씩 살펴볼 거예요
너무 길게 만들지는 않을 테고
아래에 타임스탬프를 넣어서
원하는 부분으로 바로 갈 수 있게 할게요
첫 번째로 말하고 싶은 팁은
완전히 새로운 건데
너무 마음에 들어요
사실 이게 얼마나 그리웠는지
몰랐거든요. 그리고 이게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VS Code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일 수도 있어요
Shift+Tab+Tab을 눌러보세요
터미널을 여기로 가져올게요
Shift+Tab+Tab을 누르면
아래쪽에 '플랜 모드 온'이라고 보이죠
실제로 Claude와 대화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할 일들의 계획을 세워주죠
그다음에 그냥 실행시키면 돼요
정말 마법같아요
Discord에서 누군가 이걸 알려줬는데
실제로 며칠 전에 나온 기능이에요
꼭 써보세요
Shift+Tab+Tab은 보통 눌러볼 만한
조합은 아니죠
하지만 최신 버전의 Claude에는 있어요
최신 버전에 말이에요
두 번째 팁은 팀원처럼 대화하라는 거예요
대화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는데
다른 엔지니어와 어떻게 대화할지
생각해보세요
코드에 대해 질문하세요
이 클래스는 뭘 하나요?
어떤 API를 쓰나요?
제가 좋아하는 것 중 하나는
API 이름이 기억나지 않을 때
그냥 '뭔가 시작하고 이런저런 거 하는 거'라고 했더니
온보딩이 시작될 때
어떤 API를 호출하냐고 물어봤어요
몇 초 만에 답을 알아냈고
정답이었어요
로그인 버튼을 바꿔달라고 할 수도 있어요
컴포넌트 이름을 지정할 필요도 없고
파일을 지정할 필요도 없어요
물론 파일을 지정하면
더 빨라지긴 해요
잠깐 후에 그 얘기를 할게요
여기 '캠페인 생성'이라는 버튼이 있는데
클릭하면
API에서 500 서버 에러가 나요
로그는 여기 있어요
이건 실제로 어제 사용한 건데
필드 하나가 빠져서
이상한 500 에러가 나고 있었어요
그래서 Claude가 그걸 고쳐줬고
제가 직접 들어가서 뭔가 복잡한 걸 할 필요가 없었어요
거기서 말이에요
그곳에서 실제로 복잡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또한 이런 식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설명해달라고 하면 정말
정말 정말 잘 작동합니다. 그래서
제가 작업하고 있는 또 다른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로그인을 위한 API가 무엇인지
그리고 형식을 알려달라고 했더니
그 질문에 대답하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훌륭한 작업을 했죠. 하지만
더 정확하고 외과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파일에서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클릭하기 전에
XYZ를 유효성 검사하는 함수를 추가해주세요.
제가 했던 예시가 여기 있습니다.
이 파일에서 지난 90일간 계산된 LTV가
이 파일에 표시된 것과 다릅니다.
이 경우 고객 수는 같지만
LTV가 다릅니다.
가능한 원인을 분석하고
수정 계획을 제안해주세요.
아주 외과적으로 말이죠. 실제로 코딩을
하는 것은 원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내려고 했습니다. 이걸 시작하고
다른 일을 하러 갑니다.
결국 아주 작은 변경사항이 되거나
조금 더 복잡할 수도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제가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것은 제가 긴 프롬프트에
사용하기 좋아하는 형식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기능을 작업하거나
조금 더 큰 것을 원할 때가 많습니다.
더욱 정확해야 합니다. 그래서
XML 태그를 사용하겠습니다.
미친 얘기지만 저는 정말
수많은 메모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윈도우를 쓰는데 수십억 개의 메모장이
열려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그래서 저는
지침, 요구사항, 테스팅 같은 것들을 사용하는데
사용하기 좋은 태그들입니다.
Claude Code가 이런 것들을 정말
정말 잘 따르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런 식으로 만들 겁니다. 이것은 제가
실제로 사용한 정확한 예시입니다.
그래서 AWS Cognito를 사용한 서버리스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고 Lambda CDK를 사용해서
모든 내용을 채워넣습니다.
그래서 이걸 검토하고 수정합니다. 실제로
처음에는 AI를 사용해서
이걸 생성하는 데 도움을 받고
그다음 직접 들어가서 수동으로 변경하는데
이것이 Claude Code가 이 기능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방식에 엄청난 도움이 됩니다.
Claude Anthropic 자체에서도
Claude가 XML 기반 태그를 따르는 것에
얼마나 잘 훈련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실제로
프롬프트의 다른 부분에서 이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정보 영역을
다시 참조하거나 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실제로 프로덕션 프롬프트에서도
이걸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이것은
Claude 외부에서 만들 프롬프트의 예시입니다.
그냥 타이핑해서 넣는 게 아니라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됩니다.
그 시점에서 준비가 완료됩니다.
초기화를 사용해서 claude.md 파일을 만드세요.
이에 대해 조금 이야기했지만
또한 계속 업데이트하세요.
가끔씩 업데이트하라고 하세요.
이것은 제가 이전 영상에서
꽤 많이 다뤘던 내용입니다.
이전 영상들에서 상당히 많이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니까 슬래시 init 명령어를 꼭 기억해 두세요.
정말, 정말, 정말 강력한 기능입니다.
이제 많은 분들이 모르는 기능을 소개할게요.
어떤 이유로든 하루를 마치고
대화를 종료하고 Claude를 나갔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간단히 continue를 눌러서
이전 대화를 불러올 수 있어요.
바로 작업을 이어갈 수 있죠.
정말 유용합니다.
Claude 로그를 확인해서
대화 ID를 가져와서
불러오는 방법도 있어요.
하지만 claude-continue가 제가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이에요.
왜냐하면 대부분의 경우
예전 대화들을 다시 불러오고 싶지 않거든요.
오랫동안 저는 사실
Claude를 나가거나 다른 터미널을 열어서
GitHub과 상호작용을 했어요.
지금도 종종 그렇게 하지만
항상 그럴 필요는 없어요.
때로는 그냥 커밋하고 싶을 때가 있거든요.
그럴 때는 Claude Code에
그냥 commit이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실제로 작동하는 걸 볼 수 있어요.
여기서 보시면 파일을 git add 할지 물어보고
기본적으로 git commit -m을 실행해줍니다.
여기서 생성한 커밋 메시지가 정말 마음에 들어요.
제가 보통 하는 다른 방법은
커밋을 직접 하고 싶을 때
커밋 메시지를 생성해 달라고 하고
그걸 복사해서 사용하는 거예요.
보통은 안 쓰지만
push 기능도 사용할 수 있어요.
push branch나 push to dev라고 하면
실제로 push까지 해줍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게 작동하려면
git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어야 해요.
하지만 정말로 Claude가
알아서 처리하게 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특히 말이죠.
이제 제가 정말 좋아하는 기능을 보여드릴게요.
이제부터는 여러분이 아마
아직 시도해보지 않았을 만한
기능들을 소개하기 시작할 거예요.
터미널에 있는데
뭔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고 해봅시다.
점심을 먹으러 가고 싶어요.
그래서 저는 claude -p 같은 걸 입력합니다.
이게 기본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처리해 줍니다.
제가 상호작용할 필요도 없고
승인할 것도 없어요.
저는 사용자 아바타를
URL을 통해 사용자 레코드에 첨부할 수 있게 만들어달라고 할 거예요.
API 모델 업데이트가 필요해요.
매우 기본적인 작업이죠.
그러면 이런 일이 일어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이런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요.
모든 작업이 완료됐고
이제 들어가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건 정말 훌륭해요.
이걸 로컬 Codex처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작업들을 그냥 시작할 수 있어요.
때로는 코드의 다른 부분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시작하고
나중에 돌아와서
어떻게 처리됐는지 확인해요.
다만 상호작용성은 잃게 됩니다.
그래서 대화를 나누거나
반복 작업을 하고 싶은 경우라면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아요.
대시보드를 만들지는 않지만 정말
놀라운 기능이에요. 시작하고 싶을 때
말 그대로 코덱스나 원격 에이전트처럼
다루면 됩니다. 이건 제가 요즘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한 기능이에요.
지금 작업 중인 새 프로젝트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하고 싶은 건
Claude의 커스텀 슬래시 명령어입니다.
실제로 자신만의 슬래시 명령어를
만들 수 있어요. .claude 폴더로 가서
commands라는 폴더를 만들고
마크다운 파일을 만들면 됩니다.
이 경우에는 문서 업데이트
명령어를 만들어보겠습니다. 현재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현재 문서를 평가하고,
새로운 기능으로 claude.md를 업데이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문서도
업데이트하라고 설정하면,
이제 슬래시를 입력하면
그 명령어가 나타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정말 뛰어난, 절대적으로 뛰어난
추가 기능이에요. 제가 실제로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매일 작업하는 메인 레포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두세 개 정도
만들었는데 모두 매우 유용해요.
이것은 Anthropic에서 추천하는
기능인데, GitHub 이슈를
분석하고 수정하라고 하면
GitHub 이슈 번호를 전달할 수 있고
여기에 있는 명령어들을 사용해서
단계를 따라가며 GitHub 이슈 뷰를
사용해 이슈 세부사항을 가져오는 등
모든 과정을 거쳐서 푸시하고
PR을 생성해서 전체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합니다.
상호작용 없이 말이죠.
정말 정말 멋져요.
이것은 제가 사용하는 워크플로우 중
하나인데, 다른 AI와도 함께 사용하지만
Claude가 만든 작업을 Claude가 리뷰하게 하는 거예요.
하나는 Opus에서, 하나는 Sonnet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주로 Sonnet을
사용하는데, 최대한 많이
사용하고 싶어서예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으로 과정을 거쳐가며
작업을 완료하고 나서
"좋아, 이건 내가 만든 새 파일이야.
다른 창에서 이걸 리뷰해봐"라고 합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컨텍스트에서 문제점을 찾게 합니다.
이것도 프롬프트로 만들 수 있어요.
특별한 리뷰 가이드라인이 있다면
커스텀 프롬프트를 만들 수 있고,
그러면 리뷰를 해줍니다. 저는 보통
과정을 거쳐가며 이에 대해
대화하고, 원하는 지점까지 가져간 다음
실제로 구축한 쪽에 다시 전달해서
반복 작업을 하게 합니다.
AI가 만든 것을 AI가 반복 작업하도록
생각하기 시작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고,
Claude Code는 이런 작업에
완벽합니다. 절대적으로 완벽해요.
네, 스크린샷을 사용하세요.
정말로 활용하세요. 드래그 앤 페이스트하거나
터미널에 직접 드래그 앤 카피할 수 있어요.
제가 할 때는 이렇게 보입니다.
WSL에서도 작동하고,
리눅스에서도 정말 잘 작동해요.
제 경우에는 보통 파일 자체를
터미널로 드래그합니다.
정말 정말 편리해요. 특히 디자인 작업을
할 때나 UI 버그가 있을 때
복사해서 붙여넣거나
그냥 드래그해서 거기에 넣으면 됩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려주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스크린샷을 꼭 활용하세요.
망설이지 마세요.
많은 분들이 컴퓨터 사용이나
다른 도구들을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
이것은 제가 꽤 자주 사용하는
프롬프트 중 하나입니다.
제가 하는 방식은 이런 작은
텍스트 파일들을 데스크탑에 저장해두는 것입니다.
참고로 제 데스크탑은 엉망이에요. 정리가 필요해요.
하지만 이런 식으로 TDD 형태의
프롬프트를 만들고 XML 형식을
사용하는 것을 주목해 보세요.
세 가지 다른 태그 유형을 사용합니다.
test, implementation, 그리고 rules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테스트 주도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구현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 테스트를
구현한 다음 테스트를 통과할
기능을 구현해 주세요'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커밋하고
PR까지 만들라고 할 수도 있어요.
저는 실제로 그전에 코드를
검토하고 싶어서 보통 여기서 멈춥니다.
원하는 규칙을 추가할 수 있고
이것은 정말 멋진 방법입니다.
Claude Code를 꽤 강력하게 만들어 주거든요.
충분히 독립적인 것이 있어서
작성한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반복 작업을 할 수 있다면
솔직히 말해서 정말 강력합니다.
아직 해보지 않으셨다면
꼭 시도해 보세요.
제 것보다 더 좋은 프롬프트가
있을 수도 있고, 그렇다면 아래 댓글에서
꼭 들려주세요. 이제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가장 놀라워했던 것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정말 정말 도움이 됩니다.
저는 Ultra Think와 몇 가지 다른 것들을
조합해서 이 프롬프트에 사용합니다.
이것은 제가 저장해 두고 복사해서
붙여넣은 다음 원하는 것을
채우는 프롬프트입니다.
'이것에 대해 울트라 씽킹을 해주세요.
코드베이스를 탐색하고
필요한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합리적인 곳에서는 서브 에이전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을 탐색하고
계획하고 구현하기를 원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예시를 보세요.
제가 방금 말한 모든 것들입니다.
아이 프로필을 위한 새 테이블을 구현하세요.
이름, 생일, 아바타 이름, 아바타 이미지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아이 프로필은
소유자로서 사용자를 참조해야 합니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계정에 추가합니다.
미래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가 소유한 아이 프로필을
볼 수 있는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여기서 한 생각의 일부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정말 훌륭한
작업 목록 관리자나 해야 할 일들의
작업 목록을 만듭니다.
이것은 정확합니다.
여기서의 구현은 믿을 수 없을 정도였어요.
이제 이 생각하는 점점점이
트리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더 열심히 생각하라고 말했기 때문이죠.
이 모든 것은 Sonic 4로 완료된 것입니다.
Opus가 아닙니다. Opus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는다고 하는 사람들을 들었지만
저는 다시 말하지만 대부분의 테스트를
Sonnet을 사용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AI가 만든 것을 과감히 버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건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인 것 같아요.
제가 보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AI와 싸우면서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습니다.
이미 망가진 것을 다시 제자리로 돌리려고
애쓰는 시간을 너무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이미 뭔가 망가졌다면
커밋하고, 커밋하고,
망가진 것들은 버리고, 돌아가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다시 작성하세요.
괜찮습니다. 이제 코드 생성은
꽤 저렴해졌거든요. 그래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면
그냥 과감히 지우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세요. 제 바람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해서
왜 이런 엄청난 격차가
존재하는지 이해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저는
정말 많은 메시지를 보고 있어요.
Claude Code를 사랑한다거나 싫어한다는
메시지들 말이에요. 아마도 사람들이
CLI 기반 사용자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알다시피 그것도 다른 경험이고,
누구든 Cursor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것을
탓할 수는 없습니다. 저도 Cursor를 좋아하고
여전히 매일 사용합니다.
하지만 Claude Code도
정말로 프로그래밍을 재미있게 만든다고 생각해요.
달리 설명할 방법을 모르겠어요.
저는 단지 제가 원하는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너무나 많은 통제권을 가지고
있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샷으로 하고 놔둘 수도 있고,
실제로 아주 깊이 파고들어서
작업 목록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제가 얻는 통제권은
정말 놀라울 정도입니다.
어쨌든, 이 팁들이 여러분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만약 어떤 식으로든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댓글로
알려주세요. 제가 여기에 포함하지 않은
새로운 것들을 실제로
알고 계신다면 말이에요. 이것은 그저
Claude Code를 사용하는 제 개인적인 방법입니다.
사람들이 제가 아직 모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방법들이
분명 있을 것이고, 그런 것들을
제가 배울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여러분 모두 멋진 하루 보내시길 바라고
다음에 만날 때까지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